목록Study/면접 (5)
조앤의 기술블로그
q) OSI 7계층에 대해 설명하시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 이 모델은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것이다. -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 '프로토콜 스택' 혹은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프로토콜 스택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들은 하드웨어로, 상위 계층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Q) power set의 정의 : 주어진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들로 구성된 집합. 2에 n승 Q) power function의 정의 : 거듭제곱의 지수를 고정하고 밑을 변수로 하는 함수 x에 a승 Q) Mathematical induction이란? : 수학적 귀납법. 모든 자연수가 어떤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킨다는 명제를 증명하는 방법의 하나. 가장 작은 자연수가 그 성질을 만족시킴을 증명한 뒤, 만약 어떤 자연수가 만족시키면 바로 다음 자연수 역시 만족시킴을 증명하기만 하면, 모든 자연수에 대한 증명이 끝남. Q) Relation의 정의는? : cartesian product 의 subset Q) Cartesian product 의 정의는? : 공집합이 아닌 집합들로부터 새로운 집합을 만드는 방법. A ..
Q) Sorting Algorithm 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Q) Insertion sort, heap sort, selection sort, quick sort 중 optimal 한 것과 optimal 하지 않은 알고리즘은 ? 그 이유는? Q) In-place, Stable Q) quick sort의 worst case는 언제 발생하며 그때의 시간복잡도는? [Quick Sort] * Charles Antony Richard Hoare가 개발한 정렬 알고리즘 * stable하지 않음. 다른 원소와의 비교만으로 정렬을 수행하는 비교 정렬에 속한다.(?) * 분할정복 알고리즘의 하나로,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수행 속도를 자랑하는 정렬 방법 - merge sort와 달리 퀵 정렬은 리스트를 비균등하게 분할..
Q) B-tree Q) B+ tree, B* tree [B-tree] 데이터베이스와 파일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료구조. 이진트리가 자식 노드가 최대 2개인 노드를 말하는 것이라면 B-tree는 자식노드의 개수가 2개 이상인 트리를 말한다. 또한 노드 내의 데이터가 1개 이상일 수가 있다. 노드 내 최대 데이터 수가 2개라면 2차 B-tree, 3개라면 3차 B-tree라고 한다. 1, 2, 3, ...M차 B-tree라고 한다. 차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알고리즘이 달라진다. B-tree의 성립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zㅏ * 노드의 데이터 수가 n개라면 자식 노드의 수는 n+1개이다. * 노드의 데이터는 반드시 정렬된 상태여야 한다. * 노드의 자식노드의 데이터들은 노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데이터보..
해당 대학은 아니지만, 대학원 입학 면접의 질문은 대체로 그 결이 비슷한 것 같아서 다른 대학의 기출문제를 참고하여 면접을 준비했다. (카이스트, 포항공대 ...) 비슷한 질문은 묶어서 공부했다. Q)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점 Q) 프로세스와 스레드간의 통신에 대해 비교. Q) 프로세스와 스레드가 메모리에 접근할 때 차이(프로세스와 스레드가 메모리에 store하는데 다른 프로세스와 스레드가 load하면 어떻게 되는지) Q) Thread 끼리 context-switching 할 때 [프로세스] * 프로세스 프로세스(Process)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처리기,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 프로세스는 필요한 각종 자원을 요구한다. * 프로세스의 여러가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