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gramming (60)
조앤의 기술블로그
우선 코코아팟 터치. (참고 글) https://zeddios.tistory.com/25 왕 초보를 위한 CocoaPods(코코아팟) 사용법 (Xcode와 연동) 안녕하세요! 오늘은 CocoaPod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릴려고해요 :) 저는 CocoaPod 처음에 시작할 때 뭐가 뭔지 몰라서 정말 하나도 몰라서 진짜 어려운거구나...라고 생각했었어요. 하지만 한번 배워 놓으면 정말 쉽.. zeddios.tistory.com 1. 해당 프로젝트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cd 명령어로. 2. pod init 3. 그러면 Podfile이 폴더에 생기는데 이거를 수정한다. vi 명령어로. (중간에 기억이 안나서 헤맸던 명령어...) 1) 우선 esc 키를 눌러야 명령어 모드로 가고 그다음에 :w 눌러서 저장하고 :..
개인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하였다. 시장성이 있을진 모르겠지만, 당장은 내가 쓰고 싶은 어플을 만들기로 했다. 사실 이 어플을 기획하고, 나름의 기획서까지 쓴 건 두어달 전인데, 부끄러워서 숨겨뒀다가 이제서야 블로그에 옮겨본다. (하지만 부끄러워서 이 글도 나중에야 공개할 것 같다.) 사실 아직 내 수준은 어플을 직접 제작하기에는 턱없는 수준이다. 하지만 상반기 내에 어플을 출시하겠다는 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부와 개발을 병행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개요] 내가 싫어하는 말 중 하나. '밥 그냥 대충 때웠어' 식사 시간은 소중한 시간이다. 근데 여기에 (한국인의) 트렌디한 감성을 더해서. 개인의 '소중한' 식사시간. 개인이 자신의 일상, 특히 '식'에 즐거움을 느끼고 정성을 다할 수 있도록. 특..
git 기초 명령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예제에 사용할 index.html, style.css파일입니다. git config : 내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명령어 설정한 이름은 커밋을 처리할 때마다 사용됩니다. git init : 새로운 git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명령어. git clone : git 프로젝트에 가입하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 사본을 내려받는 일(cloning) "Commit or it didn't happen" & git status : 현재 상태 확인 Untracked files (커밋되려면 tracked 파일이 필요함) (tracked 되려면 먼저 파일이 git의 DB에 추가되어 있어야 함) *많이 혼동하는 부분 : 파일을 저장소에 추가하는 것이 커밋이 아닙니다. 커밋은 Git ..
버전 관리 tool인 git을 다루기 전 '버전 중심의 사고'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저장소 repository : 각 버전의 "사본"을 유지하는 곳. 커밋 commit : 일시정지할 수 있는 시점에, 해당 버전을 저장소에 저장 (스냅샷) 브랜치 branch : 커밋이 모여 구조화된 것. (이후에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칭찬할 것인가!) primary version : trunk, master branch. 안전하게 변경할 수 있는 프로젝트 버전 : 작업사본 working copy(메모장 같은 역할). 이것을 저장소에 commit하면 공식 버전이 된다. commit은 ctrl+S처럼 하는게 아니라 중요한 변경사항(+주석, +충돌 해결)에 대한 행위입니다. 이 과정..